세계 최고 스테이크 맛의 비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포빅에스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5,907회 작성일 18-11-15 09:47본문
스페인 레온 인근의 한적한 시골 마을인 히메네스 데 하무스.
사방이 끝도 없이 펼쳐진 들판뿐인 이곳에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스테이크 레볼루션’에서 세계 최고의 스테이크라고 평가한 식당 ‘엘 카프리초’가 있다.
이곳은 대체 무엇이 특별하길래 ‘세계 최고’라는 칭호를 얻을 수 있었을까.
‘스테이크 레볼루션’은 꼭 식도락가가 아니더라도 한번쯤 볼만한 흥미로운 작품이다.
프랑스인인 제작자는 미국의 유명 스테이크 하우스에서 소고기를 먹고 놀랄 만한 경험을 한다.
그동안 프랑스 스테이크가 최고인 줄로만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우리가 늘 ‘한우가 최고’라는 프레임 속에 갇혀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할까.
제작자는 그 길로 스테이크의 발상지인 영국과 미국을 비롯해 아르헨티나, 일본 등을 누비며 세계 최고의 스테이크를 찾아 나선다.
우리가 얼마나 작은 세상 속에 사는지, 세상에는 얼마나 다양한 방식의 삶이 있는지 스테이크를 통해 일깨워 준다.
마드리드에서 차를 달려 네 시간이나 걸리는 시골을 기꺼이 찾은 것도 이 영상 때문이었다.
오후 늦은 시간 엘 카프리초를 찾았다.
사람들로 붐비는 식당 한편에서 오너이자 셰프인 호세 고르돈을 만났다.
4대째 가업을 잇고 있는 그는 저녁 식사 전에 갈 곳이 있다며 차를 몰고 어디론가 향했다.
5분가량 달려 도착한 곳은 그의 목장.
경계를 알아차릴 수 없을 만큼 넓은 곳에서 수많은 소들이 풀을 뜯고 있다.
멀리서 볼 때와 달리 가까이서 보니 여느 소와 달리 덩치가 어마어마했다.
고르돈 셰프는 그중에 유난히 덩치가 큰 소를 가리키며 말했다.
“얘는 13년 된 소입니다.”
엘 카프리초의 스테이크가 특별한 이유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키운 소로 만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한우는 3년, 미국은 광우병 위험 때문에 2년을 키운 후 도축하는 데 비해 이곳의 스테이크는 주로 10년에서 15년을 키운 소를 사용한다.
이렇게 오랫동안 소를 키우는 이유에 대해 묻자 그는 오로지 최고 품질의 소고기를 얻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모든 동물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은 치밀해지고 육향이 진해진다.
오래 키운 동물은 어린 동물에 비해 질기고 냄새가 많이 난다는 게 일반적인 상식이다.
이는 어린 동물은 부드러운 대신 특유의 풍미를 덜 가진다는 말과도 통한다.
고기 자체의 맛을 즐기는 스테이크 재료로 풍미가 적은 어린 소보다 충분히 오래 키운 소가 더 적합한 셈이다.
그렇다면 질긴 육질은 어떻게 해야 할까.
여기서 필요한 것이 숙성이다.
고기를 건조 숙성시키는 드라이에이징은 고기의 풍미는 살리면서 육질은 연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이다.
고르돈 셰프의 숙성고에는 3~6개월 이상 숙성시킨 고기가 매달려 있었지만 그중에 겉이 곰팡이로 덮여 있다든가 이취가 나는 건 단 하나도 없었다.
숙성시킨 고기에서 쿰쿰한 치즈향이나 불쾌한 냄새가 난다는 건 드라이에이징을 잘못한 결과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우리는 고기 맛이 살코기에서 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대부분의 풍미는 지방에서 비롯된다.
근육에 그물처럼 퍼진 지방, 마블링이 많을수록 맛있다고는 하지만 지방에도 격이 있다.
어린 소와 나이 든 소의 지방, 사료를 먹고 살을 찌운 소와 물을 먹고 자란 소의 지방은 풍미가 다르다.
고르돈 셰프가 그토록 오랫동안 소를 키우는 이유도 지방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나름의 방식인 것이다.
또 하나 흥미로운 건 키우는 소의 종이 각기 달랐다는 점이다.
스페인 각 지방의 토종소를 비롯해 인근 포르투갈산 소도 있었다.
단지 오래 키운 소로 만든 스테이크가 아니라 ‘7년 사육해 3개월 숙성한 미뇨타 종으로 만든 스테이크’, ‘12년 키우고 6개월 숙성한 사야게사로 만든 스테이크’처럼 각각 고유 이름과 연령, 숙성 기간을 명시해 알고 먹는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점도 눈에 띈다.
맛은 어떨까.
직접 칼을 잡은 고르돈 셰프는 능숙하게 고기를 썰어 접시에 담았다.
스테이크 한점 한점의 풍미는 눈이 휘둥그레질 만큼 깊이가 있고 여운이 오래갔다.
지방은 마치 품질 좋은 버터를 맛보는 듯했다.
손에 꼽을 만한 멋진 경험이었다.
다만 부드럽고 연한 소고기를 많이 먹는 한국인의 방식과는 어울리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의 방식이 무조건 옳고 우리는 그르다는 생각은 할 필요가 없다.
어린 소는 어린 소대로, 오래 키운 소는 그 나름의 맛과 가치가 존재한다.
다만 다른 방식으로 소를 키우고 요리한 이곳의 스테이크는 꼭 한 번 맛봐야 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맛에는 한 가지 정답만 있진 않다는 걸 온몸으로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